업비트, 암호화폐 거래소 1호 신고…실명확인 입출금 계좌 확보


업비트, 암호화폐 거래소 1호 신고…실명확인 입출금 계좌 확보
가상화폐 비트코인이 중국발 악재로 인해 1월 이후 첫 3만 달러가 붕괴 됐지만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다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사진은 23일 서울 강남구 업비트 라운지. 2021.6.23

암호화폐 거래소(거래소) 업비트가 금융당국에 특정금융거래정보법(특금법상) 가상자산 사업자 신고서를 제출했다. 케이뱅크로부터 실명계좌 입출금 계좌 확인서를 발급받으면서 1호 신고 거래소로 이름을 올리게 됐다.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는 20일 홈페이지를 통해 업비트가 특금법에 따라 사업자 신고서를 제출한 사실을 공개했다.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 관계자는 "특금법에 따라 20일 금융정보분석원에 가상자산사업자 신고 접수를 했다"고 밝혔다.

특금법에 따라 암호화폐 사업자는 다음 달 24일까지 Δ실명확인 입출금 계정 발급 확인서(실명 계좌) Δ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인증 등의 요건을 갖춰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에 신고해야 한다.

신고서를 제출한 만큼, 금융당국은 업무 절차에 따라 심사에 돌입한다. 금융위원회의 '가상자산사업자 신고 매뉴얼'에 따르면 FIU에 신고서가 접수되면 금융감독원이 신고 요건을 심사한다. 금감원 심사 결과를 바탕으로 FIU 심사위원회는 최종 수리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FIU는 신고서 접수일로부터 최대 3개월 이내에 수리 여부를 통지한다. 늦어도 11월 20일쯤에는 결정이 날 것으로 보인다.

업비트는 FIU에서 심사가 마무리될 때까지 케이뱅크와 함께 자금세탁 방지를 위한 시스템 점검을 계속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업비트가 신고 절차를 공식적으로 밟으면서 다른 거래소의 움직임도 주목된다. 도규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8월 이내에 1~2개 암호화폐(가상자산) 거래소가 당국에 (가상자산 사업자로) 신고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따라서 업계에선 조만간 FIU에 가상자산 사업자 신고서를 제출할 거래소가 추가로 나올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현재로선 빗썸‧코인원‧코빗 중 한 곳이 유력하다. 빗썸과 코인원은 NH농협은행과, 코빗은 신한은행과 실명계좌 입출금 계좌 제휴를 맺고 있다. 그간 이들 거래소는 은행으로부터 재계약을 위한 실사를 받아왔다.

4대 거래소를 제외한 나머지 중소 거래소의 신고 여부는 아직 불투명하다. 은행권이 실명계좌 발급에 있어 까다로운 조건을 내걸고 있어서다. 업계는 신고 기한이 연장되지 않으면 줄폐업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하고 있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현재 운영 중인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는 모두 61곳이다. ISMS를 획득한 업체는 20곳, ISMS 심사를 받는 업체는 22곳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로그인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회원 로그인

More From Author

로빈후드 암호화폐 수익 62%, ‘도지코인’ 거래서 발생했다

업비트, 암호화폐 거래소 첫 사업자 신고… ‘나홀로 독주’ 심화되나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