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록체인, 메타버스 등 미래 기술 기반 사업을 키우고 있는 카카오가 올해 글로벌 시장으로 관련 사업을 확장한다. 국내에선 대체불가능한토큰(NFT) 사업과 암호화폐 지갑사업 확장에 주력한다.
배재현 카카오 수석부사장은 11일 오전 진행된 2021년 카카오 4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 참석해 공동체(계열사)의 블록체인, 메타버스 사업 계획을 공유했다.
현재 카카오는 크러스트, 그라운드X, 카카오게임즈 등을 통해 블록체인·메타버스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카카오는 연초 자사 블록체인 사업을 세분화했는데 크러스트는 블록체인 기술 연구와 투자를, 그라운드X는 NFT 및 암호화폐 지갑 사업을, 카카오게임즈는 돈버는게임(P2E)·메타버스 사업을 추진하는 식이다.
배 수석부사장은 "메타버스의 주요 구성요소가 게임과 유사한 만큼 상반기에 다양한 게임사들이 클레이튼 플랫폼에 진출하며 P2E, 게임파이가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클레이튼의 '레이어2' 체인을 활용한 카카오게임즈의 보라네트워크는 콘텐츠에 최적화된 플랫폼으로 전환해 카카오 생태계에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배 수석부사장은 "(카카오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은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변화할 것이며, 글로벌 탑티어 플랫폼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크러스트는 클레이튼 블록체인 사업을, 그라운드X는 NFT 사업에 집중하게 된다"고 밝혔다.
그는 "(그라운드X는) 올해부터 국내를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NFT 리딩하는 기업으로 거듭나고자 하는 목표 가지고 있다"며 "(NFT 거래 플랫폼) 클립드롭스 '원데이원드롭'은 누적 100억원 매출 달성했고, 카카오(톡 기반) 암호화폐 지갑서비스 '클립'은 167만명 가입자 기록한 상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익명성이 강한 암호화폐 지갑에 대한 각국의 규제 리스크가 커지는 가운데 (클립은) 커스터디형 지갑으로서 규제 방향성과도 일치하는 국내 암호화폐 지갑서비스"라며 "올해 암호화폐 지갑 시장에도 진출할 예정이다"고 부연했다.
배 수석 부사장은 이날 블록체인 사업의 해외 확장에 대한 의지도 드러냈다. 그는 "클레이튼은 다양한 디파이 프로젝트 등에 투자하며 외부와 지속적 통합을 이루고 있다"며 "일본, 미국,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등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본격적 글로벌 진출 시도하고 있다"고 했다.
한편 이날 배 수석 부사장이 공개한 카카오 블록체인 관련 매출은 크게 한국은행 디지털화폐(CBDC) 용역 외 4가지로 구성됐다. 4가지 매출 구분은 Δ클레이튼 플랫폼 기반 B2B 솔루션 매출 Δ클레이튼 거버넌스로서 마이닝에 따른 보상 ΔNFT 클립드롭스 중개 수수료 Δ기타 클레이 관련 매출이다.
배 수석 부사장은 "올해부터는 클레이튼을 활용한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 글로벌 사업확대, 클레이 가치 증대에 주력해 수익성이 기대된다"며 "구체적인 매출규모는 추후 의미 있는 수준이 되면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