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 기관투자자의 비트코인 자산 비중이 전체의 5%~22%가 적정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25일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코빗은 자사 리서치센터가 분석한 '기관투자자를 위한 가상자산(암호화폐) 배분 전략' 리포트를 통해 이러한 제안을 내놨다.
이번 리포트는 전문적으로 자산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전통 자산군(주식, 채권)과 비트코인의 적정 자산 배분율에 대한 접근 방식 중 하나를 제안하는 용도로 작성됐다. 현재 국내에서는 법인의 암호화폐 투자가 불가능하다.
정석문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기관투자자의 위험 성향에 따라 비트코인의 적정 자산 배분율이 달라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위험 회피 성향의 기관투자자가 전통 자산군 포트폴리오에 비트코인을 추가할 경우 5%의 적정 자산 배분율을 제시했다. 위험 중립의 경우 11%, 위험 선호 성향일 경우 22%를 제안했다.
코빗 리서치센터는 주요 자산의 가격 데이터를 활용해 평균-분산 최적화 모델을 통해 적정 자산 배분율을 도출했다. 특히 국내 기관투자자들이 향후 해당 모델을 활용해 각기 다른 계수를 설정, 다양한 결괏값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정 센터장은 결괏값을 통해 세 가지 결론을 제시했다. 첫 번째는 비트코인 적정 자산 배분율은 투자자의 위험 선호 성향이 높을수록 상승한다는 점이다. 다음으로는 비트코인을 투자 포트폴리오에 추가하면 모든 위험 성향의 투자자들이 소유한 자산 포트폴리오의 위험 조정 수익률이 상승한다는 점이다.
마지막 결론은 자산 포트폴리오에 추가된 비트코인을 구매하기 위한 자금 조달 방식이 투자자의 위험 성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정 센터장은 "위험 회피 성향의 투자자는 채권 배분을 통해, 위험 선호 성향의 경우 주식 배분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한편, 모델 도출에 활용된 주요 자산의 가격 데이터는 주식은 코스피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를 50%씩 담은 바스켓, 채권은 국채선물(KTB) 지수의 2012년 1월1일부터 2022년 1월31일까지의 데이터를 활용했으며 무위험 수익률은 '0'으로 가정됐다.
자세한 배분율 산정 모델은 코빗 '기관투자자를 위한 가상자산 배분 전략' 리포트를 통해 무료로 확인할 수 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